전체 글 111

[벤처, 인증] 벤처기업 유형과 인증 요건

https://adsensery.tistory.com/entry/%EB%B2%A4%EC%B2%98%EA%B8%B0%EC%97%85-%EC%9D%B8%EC%A6%9D-%EC%9A%94%EA%B1%B4-%EB%B0%A9%EB%B2%95-%EC%A0%88%EC%B0%A8-%EC%97%B0%EC%9E%A5 벤처기업 인증 요건 및 방법(절차)과 연장까지 총 정리 최근 대기업을 등에 업지 않아도 자신만의 독특한 기술과 서비스로 세계만방에 경쟁력을 거두고 있는 벤처기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2021년 2월 12일부터 관리주체가 공공기관에서 민간 전문가 adsensery.tistory.com

VC Knowledge 2022.05.10

[지역주택조합] 일반 재개발보다 위험한 이유

요약: 소유권자 동의율 95% 이상 달성하는게 어렵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11jhlee1199&logNo=222499423188&referrerCode=0&searchKeyword=%EC%A7%80%EC%97%AD 지역주택 조합(지주택)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성수동 트리마제를 예시로 안녕하세요! 홈즈부동산 이종호 공인중개사입니다. 오늘은 지역주택조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역주택 ... blog.naver.com

부동산 2022.05.09

[피터 린치] 거시경제 이벤트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분

피터린치 -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 에서 거시경제 이벤트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분 나는 1960년 케네디 대통령 선거 시점부터 주식투자를 해왔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돌아보면 그동안 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여러 가지 뉴스와 사건들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6살 어린 나이였던 나는 민주당 후보가 대통령에 선출되면 항상 주식시장이 내린다고 들었다. 그런데 선거 다음 날인 1960년 11월 9일에 주식시장이 조금 오르는 것을 보고 놀랐다. 쿠바 미사일 위기가 발생해서 미국 해군이 러시아 함정들을 봉쇄했을 때(미국이 핵전쟁 직전까지 갔던 유일한 시점이었다), 나는 내 자신과 가족, 나라의 안위를 걱정했다. 그런데도 그날 주식시장 하락폭은 3퍼센트도 되지 않았다. 7개월 뒤, 케네디 대..

가치투자 이론 2022.05.09

[스타트업] 대표 업체 창업 배경 정리

Super Founders (2021), Ali Tamaseb : 지난 15년간 탄생한 200개+ 유니콘/창업자들의 공통점을 분석한 책. 저자가 미국 VC 이다 보니, 상당수의 사례들이 북미 중심이긴 하지만, 재미있는 내용들이 몇가지 있어서 공유. 1) 창업 당시 나이는? 10대~60대에 걸쳐 분포, 중간값은 만 34세. 상당한 전문성이 요구되는 바이오/헬스의 경우 50대 비중이 비교적 높고, consumer와 enterprise는 20대~30대 위주. 대부분의 남성이 병역 문제를 해결해야하는 한국은 이보다 조금 높을 듯. 연령대 추세는 더 내려가고 있을까 올라가고 있을까? 2) 단독 창업 vs. 공동 창업? 유니콘 기업 중 solo founder는 20%, 나머지 모두 Co-founder 보유. 창업자..

VC Knowledge 2022.05.04

[니치마켓, 시장장악] SK루브리컨츠 사례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6/article_no/8410 [DBR] 실무진 판단 믿고 글로벌 시장 돌진,‘틈새시장’ 고급 윤활기유 최강자로 우뚝 Article at a GlanceSK루브리컨츠는 불과 20년 만에 내수용 윤활유 기업에서 글로벌 고급 윤활기유 시장 내 1등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SK루브리컨츠의 성공요인은 다음과 같다.1) 이미 포화된 일반 윤 dbr.donga.com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42729561 IMM, SK루브리컨츠 지분 40% 인수…2대 주주에 오른다 IMM, SK루브리컨츠 지분 40% 인수…2대 주주에 오른다, SK이노베이션, 1조1000억 확보 www.hankyung.c..

VC Knowledge 2022.04.29

[비대면/의료/플랫폼] 원격진료 플랫폼 (투자의사O)

* 개인 기록용으로, 어떠한 목적성도 없는 글 * 개인 정보 및 회사 내부 민감 정보 등은 삭제하여 활용 **표시는 개인적인 의견/생각 [Investment Highlight] ** (투자할 이유) 1. 명확한 문제 인식과 수요 - 병원을 가는데 그렇게 많은 시간/비용을 써야하는가 의문을 가져왔고 실생활에서도 불편했음 - 대도시 제외 중소도시만해도 의료 접근성이 낮은 것이 해묵은 의료계의 숙제였는데 이를 개선할 수 있음 - Problem Solving 관점에서 기여할 부분이 많은 서비스라고 생각함 2. 잘만든 서비스 UI/UX - 대표 비대면 원격진료 업체로, 거두절미하고 실제로 써보면 정말 편함 - 특히 굳이 병원을 가지않아도되는, 약만 필요한 질환을 가진 사람에게는 혁신적임 - 단적으로 집에 침대에 ..

[가치투자, VC] 시장 색깔의 변화와 투자 기준 확립

“적자 기업에 과감한 투자 올해는 힘들다, VC도 이익성장률 높은 곳 찾아야” (최근 자산 시장 관련) - 지금은 코로나19 팬데믹 때문에 과도하게 풀었던 유동성을 줄이기 위해 금리를 올리는 단계 - 14년 간 그래왔듯 시장이 유동성 축소 때문에 일시적으로 조정 받더라도 결국 다시 상승할 수밖에 없음 - 작년 하반기와 비교해 코스피지수가 10% 가량 하락했지만, 이를 두고 크게 떨어졌다고 표현하며 지나치게 비관할 필요는 없음 - 단기간에 하락했으니 그렇게 볼 수도 있지만, 사실 위험자산 투자자의 관점에서 10%는 그리 큰 등락폭이 아니다. 보통 기대 수익률 10%면 주가수익비율(PER) 10배에 해당되는데, 구글 같은 성장주의 PER은 30배나 된다. 투자자들은 성장주의 경우 PER 30배까지는 적정한 ..

VC Knowledge 2022.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