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켓컬리를 운영하는 컬리가 상장을 추진하는 가운데 상환전환우선주에 대한 평가 문제로 영업손실이 확대
- 컬리의 지난해 매출액(연결기준)은 전년 대비 64% 증가한 1조5614억원이다. 하지만 영업적자는 2177억원으로, 전년의 1162억원보다 적자 폭이 크게 확대
- 적자가 늘어난 것은 상환전환우선주를 부채로 인식함에 따라 회계적으로 금융부채 평가손실이 발생한데 따른 것
: 회사의 우선주는 2021년말 보통주로 전환돼 올해부터 관련 회계상 이슈는 없을 것으로 전망
- 벤처캐피탈 업계는 지난 5년간 신규투자를 하면서 우선주 투자를 가장 선호했으며 그 비중도 지속적으로 확대
: 지난 2017년 50.5%였던 우선주 투자 비중은 2018년 61.8%로 급등한데 이어 2019년 65.9%, 2020년 67.0%로 커지더니 지난해의 경우 73.4%로 높아짐
- 전환우선주는 우선주의 형태이지만 일정 기간이 지난 후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주식
: 전환우선주는 일반적으로 경영권 보호 장치의 하나로 우호 지분을 확보하기 위해 발행되기도 함
: 전체 우선주의 25% 범위 내에서 발행할 수 있으며 , 정관에 규정될 경우 이사회 결의로 발행해 우호적인 제3자에 배정이 가능
: 지난 2019년 신한금융지주는 국내 금융지주사 최초로 전환우선주를 발행.
전환우선주는 전액 자본으로 인정되고, 상환 부담도 없어 발행사에 보다 유리한 자금 조달 방법으로 꼽히고 있는 주식 발행 방법
- 상환전환우선주는 일정 조건에 따라 채권처럼 만기에 투자금 상환을 요청할 수 있는 상환권과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권을 가진 주식
: 국제회계기준(IFRS)에서는 상환 의무가 있는상환전환우선주(RCPS)를 부채로 인식
: 일례로 지난 2019년 `토스` 운영사인 비바리퍼블리카가 기존의 상환전환우선주로 인해 인터넷전문은행 심사에서 인가를 받지 못하게 되자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기존 투자자가 보유하던 상환전환우선주 전량을 IFRS에서 자본으로 인식되는 전환우선주(CPS)로 변경하기도 함
https://cmobile.g-enews.com/article/Securities/2022/04/202204050306038032edf69f862c_1?md=20220406080707_S
전환우선주·상환전환우선주, 벤처캐피탈이 선호하는 까닭
전환우선주(CPS)와 상환전환우선주(RCPS)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마켓컬리를 운영하는 컬리가 상장을 추진하는 가운데 상환전환우선주에 대한 평가 문제로 영업손실이 확대된
news.g-enews.com
'VC Knowle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치투자, VC] 시장 색깔의 변화와 투자 기준 확립 (0) | 2022.04.21 |
---|---|
[제약, 바이오] 속지 않기 위한 필터링 기준 (0) | 2022.04.20 |
[스톡옵션] 주식매수권 제한 (0) | 2022.04.02 |
[VC, 라이센스] 신기술금융사업자 (0) | 2022.02.27 |
[VC 업계 구조] VC 자본 흐름 정리 (1) | 2022.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