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투자 이론

[21.12.14 / 22.01.21 가치투자 스터디] 주요 Comment

미카엘12 2022. 2. 1. 11:16



21.12.14 (화)

- 배당의 크기는 중요하지만 배당을 조금이라도 하냐 안하냐가 더 중요.
: 이익이 늘면서 배당도 하면 주가는 오르는데, 이익이 느는데 배당을 줄이면 주가 내려감
-배당 성향이 높아지면 오히려 주가 자체는 낮아지기도 함
- PBR 1이나 PBR 0.1을 찍으면 10배를 올리더라 (세아제강지주)
- PBR은 순자산 기준임. 금융주는 ROA로 봐야함. 은행은 오너가 없음. 은행도 비슷.
- 저평가가 저평가 이유가 있으면 저평가 됐다고 투자하면 안됨. 저평가된 이유가 있으니까 싼거다.
: 진짜로 골라야할 것은 저평가될 이유가 없는데 아직 싼거, 저평가 사유가 해소될 만한 거(대주주 사망 등)
- 지배구조가 매우 중요. 대주주부터가 주가를 올릴 유인과 의지가 없으면 주가가 오르기 쉽지 않음.
- 건설사는 미청구공사에서 돈을 회수하느냐 아니냐가 핵심. 수주는 공시가 되나 매출채권 회수 못해서 뒤통수 때리는 경우 많음.
- 공시에서 감사보고서 공시. 핵심 감사 사항: 회사의 핵심 포인트를 잡고 있음.
- 회사 이해 잘 못하겠으면 회사 핵심 감사 사항을 보면 됨.
- 에코마케팅. 별로 안좋게 봄. 핵심 감사 사항에 채권들을 보려면 연령분석 내역. 검색해서 본다. 계속 채권 늘어나는 중.
- 사경연 회계사 강연 좋음
- 마법공식 ROE 8% 이상 PER 12.5% 이하.
고수는 상대평가할 때 업종별로 나눠서 본다기보다는 상장사 2800개 중 멀쩡한 회사들 500개 평균 내서 상대 비교를 함. 가치투자는 전당포 같은거다. 오래 두고 있다보면 터진다. 좋은 회사는.
- 매크로는 별로 안 봄. 회사 자체가 탄탄하면 매크로 때문에 내려가더라도 나중 매크로 때문에 오르기도 함. 단기 예측같은거는 맞추기 어려움.
- 금리가 오르면 시장이 좋다는 의미라서 시장도 같이 오름. 금리가 너무 높으면 문제지만.
- 매크로는 수출 데이터보다 주가가 먼저 오름. 수출 데이터 보는 의미가 없음.
- 거버넌스. 정상 회사의 경영권 분쟁. 회사가 좋은데 경영권 분쟁 생기면 훅 오른다. 대주주 나이나 건강 상태 체크 중요.
- CB, BW, RCPS 발행하는 회사는 걸러라.
- 증여는 전후 2개월 주가 기준으로 가치 평가하므로, 손자손녀한테 던지고나서 자사주 처분하는 전략으로 감.

22.01.21 (금)

- 경영권 승계를 할 목적이면 지주사를 보통 만듬
: 승계 안할건데 지주사에 전문경영인을 앉힌다? -> 승계하겠다는 의미
- 오너 입장에서는 배당안하고 잉여금 쟁여두고, 주가는 낮게 유지하는게 승계에 유리함. 배당은 심지어 배당세도 15.4%
- 건물은 감가상각이 되나 토지는 감가상각없음.
- 세이브존이 역사적으로 토지, 건물 등 자산 가치를 축소 보고하려고 함
- 자산 가치를 낮추기 위해, 감가상각을 줄이기 위해 '세일즈앤리스백'으로 자산유동화해서 자산을 숨기기도 함